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엿새째인 3일 오후 전남 무안국제공항 참사 현장에서 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 둔덕에 파묻힌 제주항공 7C2216편의 엔진이 크레인으로 옮겨지고 있다. 2025.1.3/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엿새째인 3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참사 현장에서 항공·철도사고 조사위원회(ARAIB) 관계자들이 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 둔덕을 조사하고 있다. 2025.1.3/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관련 키워드부동산제주항공참사수습조사버드스트라이크블랙박스원인황보준엽 기자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 하락 멈추고 3.3㎡당 4500만 원대 진입지자체서 활용할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범용 설루션 발굴한다관련 기사'전세사기 특별법 2년 연장·항공안전의 날 지정' 국회 본회의 통과박상우 국토장관 "연이은 항공 사고 송구…4월까지 혁신방안 마련"로컬라이저 정보 다 다르다?…국토부 "항공고시보와 5~10㎝ 차이"조류경고 1분뒤 블박 먹통…양쪽 엔진서 가창오리 깃털·혈흔 발견로컬라이저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교체…기초대 지하로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