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종전 이후에도 북러 동맹 이어갈 것…핵 개발 지원은 '신중'"
아산정책연구원 '2025년 북러 관계 전망과 한국의 대응'
- 임여익 기자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 종료 이후에도 북한과의 동맹 관계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과 중국이 민감해하는 북핵 개발을 지원하기보다는 북한과의 경제·안보 협력을 통해 전쟁 이후 '새로운 다극체제'를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산정책연구원은 24일 '2025년 북러관계 전망과 한국의 대응'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보고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북러관계도 자연스럽게 멀어질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와는 달리, 러시아는 계속 북한과 공동 노선을 유지하고 싶어 할 것이라고 봤다. 전쟁을 계기로 유럽의 많은 우방국들을 잃은 러시아에게 자국을 줄곧 강력하게 지지해 주는 북한은 꼭 필요한 존재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4개 지역 합병' 선언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최초이자 몇 안 되는 국가다. 또한, 유엔의 반 러시아 결의안에 정기적으로 반대표를 던지고 있다.
그러나 보고서는 러시아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지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북핵 개발에 개입하는 건 미국뿐 아니라 중국과의 관계도 복잡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글로벌 핵 군축' 논의를 주도하고 있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이에 호응한 상황이다.
대신 러시아는 경제·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해 북한을 '장기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이자 동맹'으로 격상시키고자 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예측했다. 러시아가 종전 이후 북한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새로운 국제질서를 주도할 전략을 짜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러시아가 북한의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고 나설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3월 북한의 유조선이 러시아 보스토치니항에 처음 나타난 이후 북한은 현재까지 최소 43회 이상의 선박 운항을 통해 100만 배럴이 넘는 석유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엔이 제한하는 북한의 정제유 수입 한도인 연 50만 배럴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또한, 북한이 현재 에너지 생산, 특히 원자력 발전 분야에서 심각한 문제를 겪는 만큼 양국이 장기적으로 북한에 러시아식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안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plusyou@8z3wx.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